이상이 실제하기까지
칠흑같이 어두운 구덩이가 있다.
그 구덩이 속에는 바닥이라는 것이 없어 그 속에 몸을 던지면 끝없이 떨어진다. 상상만 하더라도 오금이 저릿한 느낌을 받는 이 구덩이는 다른 말로 ‘무저갱’이라 부른다. 종교적인 의미에서는 ‘영원히 죽는 사후세계’란 의미로 사용되지만, 김도경 작가의 무저갱은 그 의미와는 사뭇 다르다. 바닥이 없기 때문에 끊임없이 자신이 가진 취향의 요소를 무한히 축적하고 꾸며나갈 수 있는 공간, 그런 긍정적인 공간이 작가가 새로이 정의하는 무저갱이다.
김도경 작가는 자신만을 위한 모종의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 현실을 면밀히 탐구하는 작가다. 그녀는 일상 속에서 눈길을 사로잡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찾을 때마다 발길을 멈추고, 그 요소에 집중한다. 김도경 작가에게 ‘이질적이다’라는 것은 ‘그만큼 매력적이다’라는 의미로 통하는데, 주로 자연스럽고 완벽한 풍경 속에서 사람들이 불편하게 여길 정도로 튀어 보이는 요소들에 그러한 매력을 느낀다고 한다. 그렇게 발견하는 요소들을 놓치지 않고 수집하는 김도경 작가는 그것들을 자신만의 공간 속으로 편집한다. 이 과정에서 현실에서는 불편하다 치부되는 요소들은 “이질적인 것들을 위한, 이질로 가득한 곳”에 위치하여 생동을 부여받는다. 이렇게 매력적인 이질의 요소들이 촘촘히 쌓여가는 김도경 작가의 작업은 관람자로 하여금 작가의 이상적인 공간을 공상하도록 유도한다.
뒤죽박죽 섞여 질서가 없는 것들이 혼재되어 있는 구성, 어렴풋이 읽히는 실체들마저 그것이 알고 있던 것이 맞는지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듯 부유하는 김도경 작가의 이미지들은 가만히 보고 있자면 그 속으로 빨려 들어갈 듯한 몰입감을 자아낸다. 이것은 비유하자면 마치 가상 현실의 세계 같다. VR 기계를 쓰면 방금 전 내가 발을 딛고 서 있던 공간과는 전혀 다른 공간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 공간을 인식하려 집중할수록 실존하는 현실 세계는 감각에서 점점 멀어진다. 김도경 작가의 작업 또한 화면 속에서 눈을 매료시키는 요소들에 집중할수록 관람자는 현실과 분리되어 작품과 자신만이 놓여있는 듯, 비현실적인 공간 속에 편집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현실 위에 서서 비현실을 감지하는 이 특별한 경험은 김도경 작가의 작업이 가지는 독특한 아이덴티티라 할 수 있다.
김도경 작가는 “딱 한 번. 내가 만들어낸 이상의 공간 속을 거닐어 보고 싶다”고 말한다. 그런 작가의 말이 나에게는 자신이 구축한 세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확신, 그리고 애정으로 느껴졌다. 모든 것이 부유하고 정체되지 않은 공간이 김도경 작가에게는 간절히 원하는 공간, 더 나아가 세계다. 그러한 세계는 아직 많은 요소들이 편집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의해 무한히 팽창한다. 끝도 없이 펼쳐지는 무저갱의 공간처럼 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번 전시 <무저갱의 꼭대기에서>는 김도경 작가가 만들어 나가는 그녀만의 공간을 초입인 꼭대기에서 잠시 들여다보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무저갱의 시공간이 무한하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번 전시는 상대적으로 찰나와도 같이 짧은 순간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순간을 거닐어보는 관람자의 시간은 김도경 작가에게 이 비현실적인 세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지지를 보내는 걸음으로써 작용할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김도경 작가가 만들어 갈 무궁무진한 세계 속 한 순간의 참여자로 함께해주길 바란다.
그 구덩이 속에는 바닥이라는 것이 없어 그 속에 몸을 던지면 끝없이 떨어진다. 상상만 하더라도 오금이 저릿한 느낌을 받는 이 구덩이는 다른 말로 ‘무저갱’이라 부른다. 종교적인 의미에서는 ‘영원히 죽는 사후세계’란 의미로 사용되지만, 김도경 작가의 무저갱은 그 의미와는 사뭇 다르다. 바닥이 없기 때문에 끊임없이 자신이 가진 취향의 요소를 무한히 축적하고 꾸며나갈 수 있는 공간, 그런 긍정적인 공간이 작가가 새로이 정의하는 무저갱이다.
김도경 작가는 자신만을 위한 모종의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 현실을 면밀히 탐구하는 작가다. 그녀는 일상 속에서 눈길을 사로잡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찾을 때마다 발길을 멈추고, 그 요소에 집중한다. 김도경 작가에게 ‘이질적이다’라는 것은 ‘그만큼 매력적이다’라는 의미로 통하는데, 주로 자연스럽고 완벽한 풍경 속에서 사람들이 불편하게 여길 정도로 튀어 보이는 요소들에 그러한 매력을 느낀다고 한다. 그렇게 발견하는 요소들을 놓치지 않고 수집하는 김도경 작가는 그것들을 자신만의 공간 속으로 편집한다. 이 과정에서 현실에서는 불편하다 치부되는 요소들은 “이질적인 것들을 위한, 이질로 가득한 곳”에 위치하여 생동을 부여받는다. 이렇게 매력적인 이질의 요소들이 촘촘히 쌓여가는 김도경 작가의 작업은 관람자로 하여금 작가의 이상적인 공간을 공상하도록 유도한다.
뒤죽박죽 섞여 질서가 없는 것들이 혼재되어 있는 구성, 어렴풋이 읽히는 실체들마저 그것이 알고 있던 것이 맞는지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듯 부유하는 김도경 작가의 이미지들은 가만히 보고 있자면 그 속으로 빨려 들어갈 듯한 몰입감을 자아낸다. 이것은 비유하자면 마치 가상 현실의 세계 같다. VR 기계를 쓰면 방금 전 내가 발을 딛고 서 있던 공간과는 전혀 다른 공간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 공간을 인식하려 집중할수록 실존하는 현실 세계는 감각에서 점점 멀어진다. 김도경 작가의 작업 또한 화면 속에서 눈을 매료시키는 요소들에 집중할수록 관람자는 현실과 분리되어 작품과 자신만이 놓여있는 듯, 비현실적인 공간 속에 편집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현실 위에 서서 비현실을 감지하는 이 특별한 경험은 김도경 작가의 작업이 가지는 독특한 아이덴티티라 할 수 있다.
김도경 작가는 “딱 한 번. 내가 만들어낸 이상의 공간 속을 거닐어 보고 싶다”고 말한다. 그런 작가의 말이 나에게는 자신이 구축한 세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확신, 그리고 애정으로 느껴졌다. 모든 것이 부유하고 정체되지 않은 공간이 김도경 작가에게는 간절히 원하는 공간, 더 나아가 세계다. 그러한 세계는 아직 많은 요소들이 편집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의해 무한히 팽창한다. 끝도 없이 펼쳐지는 무저갱의 공간처럼 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번 전시 <무저갱의 꼭대기에서>는 김도경 작가가 만들어 나가는 그녀만의 공간을 초입인 꼭대기에서 잠시 들여다보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무저갱의 시공간이 무한하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이번 전시는 상대적으로 찰나와도 같이 짧은 순간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순간을 거닐어보는 관람자의 시간은 김도경 작가에게 이 비현실적인 세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지지를 보내는 걸음으로써 작용할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당신이 김도경 작가가 만들어 갈 무궁무진한 세계 속 한 순간의 참여자로 함께해주길 바란다.
강아림 (독립 큐레이터)
From Ideation to Actuality
There is a pitch-black, dark pit.
In that pit, there is no concept of a bottom, and if you throw yourself in, you fall endlessly. This pit, also known as 'Mujeogeng' in another term, induces a shivering sensation at the mere thought of it. In religious contexts, it is used to signify an 'afterlife where one dies eternally.' However, in the case of artist Doy, Mujeogeng carrie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Due to the absence of a bottom, it is a space where one can continuously accumulate and decorate elements of their personal taste, a positively construed space – this is the Mujeogeng that the artist redefines.
Doy is an artist who meticulously explores reality to construct a space meant solely for herself. Whenever she discovers peculiar elements that captivate her in daily life, she pauses and focuses on those elements. For Doy, the term 'peculiar' implies 'charming,' and she often finds charm in elements that stand out to the extent of making people uncomfortable in otherwise natural and perfect landscapes. Without missing these discovered elements, Doy collects and edits them into her personal space.
In this process, elements that are usually deemed uncomfortable in reality find a place in a space filled with "peculiar things for peculiar elements," breathing life into them. Doy's works, where these charming peculiar elements are densely stacked, induce a sense of immersion that feels like being drawn into them if observed quietly. It is metaphorically akin to a world of virtual reality. When using VR devices, a completely different space unfolds right in front of your eyes from where you stood just a moment ago. The more you concentrate on recognizing that space, the farther the tangible real world gets from your senses. Likewise, as viewers focus on the captivating elements in Doy's works, they can feel a sense of being separated from reality, placed only with the artwork in an edited feeling within an unrealistic space. This unique experience of detecting the unreal above reality can be considered the distinctive identity of Doy's works.
Doy states, "Just once. I want to stroll through the space I created." To me, these words felt like her conviction and affection, confirming that her constructed world indeed exists. A space where everything is fluid and undefined is the space Doy passionately desires, transcending into a world. Such a world infinitely expands due to the possibility of many elements still being edited. It's like the endlessly unfolding space of Mujeogeng. In this sense, the current exhibition, "<At the Top of Mujeogeng>," can be seen as a brief moment, a glimpse from the top of the entrance into the space Doy is creating. Relative to the infinite perspective of Mujeogeng's spacetime, this exhibition might be considered a relatively fleeting moment. Nevertheless, the time spent by viewers strolling through this moment will act as a step, sending support to Doy, affirming that this unrealistic world can indeed exist for the artist. I hope you, the reader of this text, will join as a participant in a brief moment within Doy's boundless world.
In that pit, there is no concept of a bottom, and if you throw yourself in, you fall endlessly. This pit, also known as 'Mujeogeng' in another term, induces a shivering sensation at the mere thought of it. In religious contexts, it is used to signify an 'afterlife where one dies eternally.' However, in the case of artist Doy, Mujeogeng carries a slightly different meaning. Due to the absence of a bottom, it is a space where one can continuously accumulate and decorate elements of their personal taste, a positively construed space – this is the Mujeogeng that the artist redefines.
Doy is an artist who meticulously explores reality to construct a space meant solely for herself. Whenever she discovers peculiar elements that captivate her in daily life, she pauses and focuses on those elements. For Doy, the term 'peculiar' implies 'charming,' and she often finds charm in elements that stand out to the extent of making people uncomfortable in otherwise natural and perfect landscapes. Without missing these discovered elements, Doy collects and edits them into her personal space.
In this process, elements that are usually deemed uncomfortable in reality find a place in a space filled with "peculiar things for peculiar elements," breathing life into them. Doy's works, where these charming peculiar elements are densely stacked, induce a sense of immersion that feels like being drawn into them if observed quietly. It is metaphorically akin to a world of virtual reality. When using VR devices, a completely different space unfolds right in front of your eyes from where you stood just a moment ago. The more you concentrate on recognizing that space, the farther the tangible real world gets from your senses. Likewise, as viewers focus on the captivating elements in Doy's works, they can feel a sense of being separated from reality, placed only with the artwork in an edited feeling within an unrealistic space. This unique experience of detecting the unreal above reality can be considered the distinctive identity of Doy's works.
Doy states, "Just once. I want to stroll through the space I created." To me, these words felt like her conviction and affection, confirming that her constructed world indeed exists. A space where everything is fluid and undefined is the space Doy passionately desires, transcending into a world. Such a world infinitely expands due to the possibility of many elements still being edited. It's like the endlessly unfolding space of Mujeogeng. In this sense, the current exhibition, "<At the Top of Mujeogeng>," can be seen as a brief moment, a glimpse from the top of the entrance into the space Doy is creating. Relative to the infinite perspective of Mujeogeng's spacetime, this exhibition might be considered a relatively fleeting moment. Nevertheless, the time spent by viewers strolling through this moment will act as a step, sending support to Doy, affirming that this unrealistic world can indeed exist for the artist. I hope you, the reader of this text, will join as a participant in a brief moment within Doy's boundless world.
Kang A-rim (Independent Curator)